1. 블루투스 설정 :
1-1. 시작-> 설정->연결-> Bluetooth 크릭
1-2. 블루투스 gps장치 검색
검색을 시작하기 전에 gps전원을 켜는것을 잊으시면 장치 검색이 안되겠죠?
새장치 추가를 크릭하면 4650 이 블르투스 장치를 검색하기 시작합니다.
장치가 검색되면 이렇게 화면이 바뀝니다.
1-3. 두개의 장치가 검색되었는데 밑에 iBT-GPS가 740입니다.
처음에 하나는 이웃집에 어는 전화기가 검색된거 같읍니다.
비밀번호가 걸려 있군요. GPS 매뉴얼에 있는데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연결이 됩니다.
1-4. GPS 연결방식 설정
여기서 아래그림처럼 자신의 GPS기기를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1-5. 파트너관계 설정
GPS는 단지 Data만 주는 것이므로 ActiveSync 방식이 아니므로 채크하지 않고 바로 마침을 눌러 줍니다.

1-6. 모드 설정
다른 장치에서 이 장치를 검색할수있도록 설정에 체크하면 다른 장치에서 검색이 되고 체크 해제하면 검색이 안됩니다. 즉 PDA폰을 다른 장치(PC등)에서 찾으려면 채크를 하시고 그렇지 않으면 채크를 안하셔도 됩니다.
GPS와는 무관하지만, 저는 Bluetooth를 이용하여 PDA폰을 외장 드라이브로 연결하기 위해 체크 했습니다.
1-7. 송신포트 설정
위에 내용을 순서대로 정확하게 따라 했으면 송신포트는 자동으로 잡힙니다.
만약에 잡히지 않았으면 "새 송신 포트"를 클릭해서 설정해 줍니다.
이 송신포트는 PDA폰과 GPS가 Data를 주고받는 포트입니다. 즉, 하드웨어 포트입니다.
따라서 "외부GPS연결"같은 소프트웨어처럼 하드웨어 포트에서 데이터를 받아서 GPS를 동시에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 분배해주는 소프트웨어에서 하드웨어는 이 포트로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이제 블루투스를 이용한 PDA폰과 GPS의 연결은 설정이 끝났습니다.
남은 것은 하드웨어 포트에서 받은 데이터를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쓸지 여러개의 프로그램에서 동시에 사용할지를 결정하고 이를 위한 소프트웨어 설정을 하시면 됩니다.
GPSGate, PortSpilliter 과 같이 판매하는 소프트웨어도 있고,
외부GPS설정 처럼 OS에서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도 있습니다(WM5,6).
m4300, m4500, m4650, m4655는 WM5, WM6를 OS로 사용하기에
외부GPS설정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여러 프로그램이 동시에 GPS를 공유할 수 있게 됩니다.
다음은 외부 GPS 설정 방법을 설명합니다.
2. 외부 GPS설정
2-1. 시작->설정->시스템에서 외부GPS 클릭
2-1. 외부GPS COM포트 설정
시작->설정->외부gps->프로그램을 차례로 크릭합니다. 아래그림이 뜨죠?
포트는 자신에 맘에 드는놈으로 선택하면 됩니다. 문제가 있으면 대화상자가 따로 뜹니다. 그때 다른놈으로 선택하면 됩니다. 아래 그림에서 설명하듯이 앞으로 소프트웨어 COM포트를 사용하는 모든 네비프로그램이 여기에서 설정한 COM 포트를 사용하게 됩니다.
아이나비나 맵피등 특별한 네비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 COM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 다른 프로그램과 동시에 사용하면 데이터가 끊기거나 아예 한 프로그램은 연결이 끊기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2-3. 하드웨어 COM 포트 설정
이번에는 선택하는 콤포트는 GPS장치를 연결해 줄 포트를 지정합니다.
다음에 블루투스 포트 설정할때 여기서 설정한 포트와 반드시 같은 포트를 설정해야 됩니다.
블르투스 GPS가 이 포틀를 통해서 4650과 통신을 하게되며 4650은 이 포트를 통해서 GPS 신호를 받아서 2-1에서 설정한 프로그램 포트로 전송합니다. 2-1에서 설정한 포트가 포트 스프리터, GPSGate등의 소프트웨어 역할을 담당합니다.
여기 포트는 앞에서 블루투스 설정시 설정한 COM 포트(앞에서는 COM6)와 같아야 됩니다.
2-4. 여러 프로그램 동시 사용
여러개의 GPS 사용 프로그램을 동시에 돌리려면 여기를 반드시 채크해 줘야 합니다.
권장사항으로 돼 있기 때문에 그냥 두시면 됩니다. 혹시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돌렸는데 데이터가 끊기던가 하는 문제가 있으면 여기를 다시 봐서 채크가 안되어 있으면 채크해 주시면 될 겁니다.
3.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설정
마지막으로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설정화면입니다.
자동검색기능이 있으면 자동검색기능을 사용합니다. 포트와 속도를 모두 찾아서 설정하니 포트검색이 안되는 경우는 포트에 이상이 있는 경우니 앞의 1, 2항의 설정을 다시 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지원되지 않을 경우는 하드웨어포트(COM6)와 프로그램포트(COM2)를 입력하여 동작하는 것을 선택합니다.
3-1. 등메 설정
2-1번에서 설정한 COM2(프로그램포트)를 사용하는데 수신 양호하네요. 아래 중앙의 포트검색을 사용하여 COM2가 설정되면 잘 설정된 것입니다.
3-2. WMT 설정
2-1번에서 설정한 COM2(프로그램포트)를 사용하는데 수신 양호하네요.
3-3. 맵피설정
아래화면은 맵피에서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제 경우 맵피는 하드웨어포트를 사용하기에 여기서 처럼 설정을 하면 COM6을 잡습니다.
* GPS 프로그램의 동시 사용
만약 맵피와 등메를 동시에 돌리면, 맵피는 하드웨어포트, 등메는 프로그램포트를 사용하므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외부GPS설정"프로그램과 맵피가 동시에 같은 COM 포트를 사용하기에 데이터를 받는데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프로그램포트를 사용하는 것은 소프트웨어가 지원해 주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프로그램포트를 사용하는 네비프로그램만 동시에 사용하셔야 됩니다.
따라서 램 메모리만 충분하다면, 등메, WMT, Ozi 그 외 소프트웨어...는 동시에 돌아갑니다.
'GPS관련 > GPS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올레코스 (0) | 2010.02.01 |
---|---|
GPS 원리 (0) | 2007.12.07 |
[스크랩] 궤적(로그) 기록기입니다. (0) | 2007.09.18 |
PDA 소프트웨어 관련 사이트 (0) | 2007.09.13 |
[스크랩] GPS 단말기의 대표적인 활용법(신입 회원 필독) (0) | 2007.09.11 |